호세 트레비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세 트레비노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포수이다. 텍사스 레인저스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2022년 뉴욕 양키스로 이적, 그 해 아메리칸 리그 골드글러브와 플래티넘 글러브상을 수상했다. 2024년 신시내티 레즈로 트레이드되었다. 2014년 텍사스 레인저스에 지명되기 전, 오럴 로버츠 대학교에서 대학 야구를 했으며, 2022년 아메리칸 리그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텍사스주 출신 야구 선수 - 그레그 매덕스
그레그 매덕스는 뛰어난 제구력과 지략적인 투구로 '정밀 기계'라 불리며 4년 연속 사이 영 상을 수상하고 18시즌 연속 골드 글러브를 수상하는 등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355승을 거둔 전직 투수로서,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텍사스주 출신 야구 선수 - 조시 베켓
조시 베켓은 텍사스 출신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전 프로 야구 선수로, 플로리다 말린스에서 2003년 월드 시리즈 우승 및 MVP 수상, 보스턴 레드삭스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서 활약하며 메이저 리그를 대표하는 투수로 활동했지만 부상 등으로 2014년 은퇴했다. - 골드글러브 수상자 - 그레그 매덕스
그레그 매덕스는 뛰어난 제구력과 지략적인 투구로 '정밀 기계'라 불리며 4년 연속 사이 영 상을 수상하고 18시즌 연속 골드 글러브를 수상하는 등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355승을 거둔 전직 투수로서,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골드글러브 수상자 - 토니 그윈
토니 그윈은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에서 20시즌 동안 활약하며 8번의 내셔널리그 타격왕과 15번의 올스타에 선정된 메이저리그 역사상 위대한 타자 중 한 명으로, 2007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고 그의 등번호는 영구결번되었으며 은퇴 후 야구 감독과 해설가로 활동하다 침샘암으로 사망했다.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포수 - 게리 카터
게리 카터는 1974년부터 1992년까지 메이저 리그에서 활동한 캐나다 출신 포수로, 몬트리올 엑스포스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치며 올스타, 골드 글러브, 실버 슬러거 등을 수상했고 뉴욕 메츠의 월드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으며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나 2012년 뇌종양으로 사망했다.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포수 - 데빈 메소라코
데빈 메소라코는 1988년생의 전 야구 선수로, 신시내티 레즈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하여 메이저 리그에서 포수로 활동했으며, 2014년 올스타에 선정되었으나 부상으로 은퇴 후 피츠버그 대학교 코치로 활동했다.
호세 트레비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호세 트레비노 |
출생일 | 1992년 11월 28일 |
출생지 | 미국 텍사스주 코퍼스크리스티 |
포지션 | 포수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드래프트 | 2014년 MLB 드래프트 6라운드 |
선수 경력 | |
소속팀 | 텍사스 레인저스 (2018년–2021년) 뉴욕 양키스 (2022년–2024년) 신시내티 레즈 (2025년–) |
데뷔 | 2018년 6월 15일 (텍사스 레인저스) |
연봉 | 72만 달러 (2022년) |
기록 | |
메이저 리그 데뷔 | 2018년 6월 15일 |
타율 | 0.236 |
홈런 | 32 |
타점 | 141 |
수상 | |
올스타 | 2022년 |
골드 글러브 | 2022년 |
2. 아마추어 경력
텍사스주 코퍼스 크리스티에 있는 세인트 존 폴 2세 고등학교를 졸업한 호세 트레비노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에서 지명받지 못했다.[1] 이후 오럴 로버츠 대학교에 진학하여 오럴 로버츠 골든 이글스에서 대학 야구 선수로 활동했다.[2]
호세 트레비노는 2014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에서 텍사스 레인저스에 지명되어 프로 경력을 시작했으며, 이후 뉴욕 양키스를 거쳐 2024년부터 신시내티 레즈에서 활동하고 있다.
2012년에는 노스우즈 리그의 메디슨 몰라드 소속으로 대학 하계 야구 22경기에 출전, 홈런 4개와 2루타 5개를 기록했다. 83타수에서 12번만 삼진을 당했고, 총 17개의 안타를 쳤다.[3] 2013년에는 케이프 코드 베이스볼 리그에서 야머스-데니스 레드삭스 소속으로 대학 하계 야구 선수로 활동했다.[4] 2014년 메이저리그 신인 드래프트에서 6라운드 전체 186순위로 텍사스 레인저스에 지명되었다.
3. 선수 경력
3. 1. 텍사스 레인저스 (2014-2021)
텍사스 레인저스는 2014년 MLB 드래프트 6라운드에서 트레비노를 지명했다.[5] 그는 로우-A 노스웨스트 리그의 스포캔 인디언스에서 프로 데뷔하여 포수, 3루수, 2루수로 출전했다.[6] 2015년부터는 풀타임 포수로 출장하게 된다.[7]
2016년과 2017년에는 마이너 리그 골드글러브를 수상했다.[8][12] 2017 시즌 후에는 40인 로스터에 등록되었다.[11]
2018년 6월 15일, 콜로라도 로키스와의 경기에서 교체 출전하면서 메이저리그 데뷔전을 치렀다.[13] 6월 16일 콜로라도 로키스전에서 웨이드 데이비스를 상대로 메이저리그 데뷔 첫 안타를 기록하였다.[14] 하지만 그 해 왼쪽 어깨 수술을 받게 되면서 시즌을 마치게 된다.[15]
2019년 시즌에는 마이너 리그에서 주로 활동하다가 8월 2일에 메이저 리그에 콜업되었다.[17] 이 시즌에는 40경기에 출장하여 0.258의 타율과 2개의 홈런, 13개의 타점을 기록하였다. 또한 이 때 44%의 도루 저지율을 기록하였는데, 이는 메이저리그 평균인 27%를 넘어서는 기록이었다.
2020년 시즌에는 코로나19로 인해 60경기 단축 시즌이 치러졌고, 24경기에 출장하여 0.250의 타율과 2개의 홈런과 9개의 타점을 기록하였다.[18]
2021년 시즌에는 팀 동료인 조나 헤임과 돌아가면서 포수로 출장하였고, 89경기에 출장하여 0.239의 타율과 5개의 홈런, 30개의 타점을 기록하였다.[19]
3. 2. 뉴욕 양키스 (2022-2024)
2022년 시즌 개막을 앞둔 4월 2일, 기존 주전 포수였던 게리 산체스가 미네소타 트윈스로 트레이드 되면서 포수 보강을 원하던 뉴욕 양키스로 트레이드 되었다.[20] 이후 전반기에 55경기에서 0.251의 타율과 7홈런, 27타점을 기록하는 등 팀 동료인 카일 히가시오카보다 타격에서 우위를 보이며 주전 포수로 주로 출전했다. 이 덕분에 데뷔 첫 아메리칸 리그 올스타로 선정되었다.[21] 그해 115경기에 출전하면서 데뷔 후 최다 경기에 출장하였고, 0.248의 타율, 11홈런, 43타점을 기록하였다.[22] 또한 수비에서도 33%의 도루 저지율을 기록하며 아메리칸 리그 도루 저지율 1위를 기록하는 등 좋은 활약을 펼쳐, 데뷔 첫 골드 글러브 포수 부문과[24] 플래티넘 글러브상을 수상하였다.[25]
연봉 조정 대상자였던 트레비노와 양키스는 2023년 시즌 연봉으로 236만달러에 합의했다.[26] 2023년 팀에서 55경기에 출전하여 .210의 타율, 4홈런, 15타점을 기록했다. 7월 21일, 트레비노가 스프링 트레이닝 이후 그를 괴롭혀온 오른손목의 인대 파열을 치료하기 위해 시즌을 마감하는 수술을 받을 것이라고 발표되었다.[27]
트레비노와 양키스는 2024년 시즌 연봉으로 273만달러에 합의했다.[28]
3. 3. 신시내티 레즈 (2024~ )
2024년 12월 20일, 뉴욕 양키스는 호세 트레비노를 페르난도 크루즈와 알렉스 잭슨을 받고 신시내티 레즈로 트레이드했다.[29]
4. 수상 경력
연도 | 소속팀 | 상 이름 |
---|---|---|
2022년 | 뉴욕 양키스 | 골드글러브상(포수 부문)[24] |
2022년 | 뉴욕 양키스 | 플래티넘 글러브상[25] |
2022년 | 뉴욕 양키스 | 아메리칸 리그 올스타[21] |
2022년 | 뉴욕 양키스 | 필딩 바이블상[23] |
5. 연도별 타격 성적
연도 | 소속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자 | 희생 번트 | 희생 플라이 | 볼넷 | 고의 4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2018년 | TEX | 3 | 8 | 8 | 0 | 2 | 0 | 0 | 0 | 2 | 3 | 0 | 0 | 0 | 0 | 0 | 0 | 0 | 1 | 1 | .250 | .250 | .250 | .500 |
2019년 | 40 | 126 | 120 | 18 | 31 | 9 | 0 | 2 | 46 | 13 | 0 | 0 | 1 | 2 | 3 | 0 | 0 | 27 | 6 | .258 | .272 | .383 | .655 | |
2020년 | 24 | 83 | 76 | 10 | 19 | 8 | 0 | 2 | 33 | 9 | 0 | 0 | 1 | 2 | 3 | 0 | 1 | 15 | 1 | .250 | .280 | .434 | .715 | |
2021년 | 89 | 302 | 285 | 23 | 68 | 14 | 0 | 5 | 97 | 30 | 1 | 1 | 2 | 3 | 12 | 1 | 0 | 57 | 13 | .239 | .267 | .340 | .607 | |
2022년 | NYY | 115 | 353 | 335 | 39 | 83 | 12 | 1 | 11 | 130 | 43 | 2 | 1 | 0 | 1 | 15 | 0 | 2 | 62 | 5 | .248 | .283 | .388 | .671 |
2023년 | 55 | 168 | 157 | 15 | 33 | 4 | 0 | 4 | 49 | 15 | 0 | 0 | 1 | 0 | 8 | 0 | 2 | 22 | 6 | .210 | .257 | .312 | .570 | |
2024년 | 74 | 234 | 209 | 26 | 45 | 5 | 0 | 8 | 74 | 28 | 1 | 0 | 1 | 2 | 20 | 0 | 2 | 41 | 12 | .215 | .288 | .354 | .642 | |
MLB:7년 | 400 | 1274 | 1190 | 131 | 281 | 52 | 1 | 32 | 431 | 141 | 4 | 2 | 6 | 10 | 61 | 1 | 7 | 225 | 44 | .236 | .275 | .362 | .637 |
- 2024년 시즌 종료 시점
6. 연도별 투수 성적
연도 | 구단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사구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투구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사구 | 고의 | 사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방어율 | WHIP | |||||||||||||||||
---|---|---|---|---|---|---|---|---|---|---|---|---|---|---|---|---|---|---|---|---|---|---|---|---|---|---|---|---|---|---|---|---|---|---|---|---|---|---|---|---|---|---|
2024 | NYY | 2 | 0 | 0 | 0 | 0 | 0 | 0 | 0 | 0 | ---- | 13 | {{cvt|2.0|} | }구 단 | 투수(P) | |||||||||||||||||||||||||||
시 합 | 자 살 | 보 살 | 실 책 | 병 살 | 수 비 율 | |||||||||||||||||||||||||||||||||||||
2024 | NYY | 2 | 0 | 0 | 0 | 0 | ---- | |||||||||||||||||||||||||||||||||||
MLB | 2 | 0 | 0 | 0 | 0 | ---- |
7. 2. 포수 수비
트레비노는 뛰어난 수비 능력을 갖춘 포수로 평가받는다. 2022년에는 리그 최고의 수비수에게 주어지는 플래티넘 글러브상을 수상했는데, 이는 뉴욕 양키스 선수 최초이자 아메리칸 리그 포수 최초의 기록이었다.[25] 또한 같은 해 필딩 바이블상[23]과 골드 글러브[24]도 수상하며 최고의 수비력을 인정받았다.; 포수 수비
년 도 | 구 단 | 포수(C) | ||||||||||
---|---|---|---|---|---|---|---|---|---|---|---|---|
시 합 | 자 살 | 보 살 | 실 책 | 병 살 | 수 비 율 | 포 일 | 기 도 수 | 허 용 도 루 | 도 루 자 | 저 지 율 | ||
2018 | TEX | 3 | 15 | 0 | 0 | 0 | 1.000 | 0 | 0 | 0 | 0 | ---- |
2019 | 40 | 259 | 13 | 1 | 1 | .996 | 1 | 16 | 9 | 7 | .438 | |
2020 | 21 | 153 | 3 | 1 | 0 | .994 | 0 | 11 | 10 | 1 | .091 | |
2021 | 88 | 644 | 27 | 6 | 3 | .991 | 4 | 47 | 40 | 7 | .149 | |
2022 | NYY | 112 | 828 | 32 | 6 | 1 | .993 | 2 | 45 | 30 | 15 | .333 |
2023 | 54 | 411 | 17 | 3 | 2 | .993 | 2 | 31 | 23 | 8 | .258 | |
2024 | 71 | 552 | 22 | 6 | 2 | .990 | 5 | 70 | 57 | 13 | .186 | |
MLB | 389 | 2862 | 114 | 23 | 9 | .992 | 14 | 220 | 169 | 51 | .232 |
- 2024년도 시즌 종료 시점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 각 연도의 '''굵은 글씨 연도'''는 골드글러브상 수상
7. 3. 내야 수비
합살
살
책
살
비
율